“한동훈, 결단 압박 후 드디어 움직이나?” - 국민의힘 내 갈등과 합종연횡

“당내 분열을 넘어서려면… 한동훈의 세 가지 요구, 김문수 받아들일까?”
1. 당내 움직임 가속화
최근 국민의힘 내부에서 불어닥친 대선 경선 후폭풍이 한층 거세지고 있다. 무엇보다 한동훈 전 대표가 “다음 주부터 현장에서 직접 유권자들과 만날 것”이라며 본격적인 유세 참여를 선언한 사실이 화제가 되고 있다. 당 내외 인사들은 이를 두고, 정치적 무게감이 큰 인물이 본격적으로 전면에 나선 것 아니냐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앞서 김문수 후보가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대선 주자로 확정되었으나, 그 과정에서 일어난 치열한 경쟁의 앙금은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분위기다. 한 전 대표가 개별 지지자들과 소통해오던 SNS 라이브 방송을 통해 “김문수 후보가 반드시 세 가지를 결정해야 한다”라고 재차 언급한 점도 눈길을 끌고 있다. 한 전 대표의 요구사항은 △계엄령을 비롯한 강경대응 반대 △윤석열 전 대통령과 공식적으로 결별하기 △자유통일당 등 강성 그룹과 분명히 거리 두기 등으로 정리된다.
2. 세력 균열과 새 국면
김문수 후보가 이 제안들을 수용하는지 여부는 국민의힘 내부세력 간 합종연횡을 가르는 분수령이 될 가능성이 높다. 당 일각에서는 “당장 한 전 대표의 조건을 받아들이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한편, “대선을 앞두고 내부 균열을 최소화하려면 결국 타협점을 찾아야 한다”라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한편 윤석열 전 대통령은 최근 페이스북에 자신이 당을 떠난다고 밝히면서 김문수 후보에 지지를 모아달라고 호소했다. 이로써 당내에는 한 전 대표와 김 후보, 그리고 윤 전 대통령의 정치적 거리 설정이 새로운 구도 변화를 불러올 수 있다는 평가가 제기된다. 안철수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은 거듭 “지금은 각자의 이해관계를 따질 때가 아니다”라며 한동훈 전 대표에게 선거대책위원회 합류를 촉구했지만, 정작 한 전 대표는 선대위 직책을 수락할지 여부에 대해 답변을 유보한 상태다.
당 안팎에서는 한동훈 전 대표의 공개적인 요구사항이 받아들여지든 아니든, 향후 유세 현장에서 그의 발언과 행보가 당의 신뢰 회복에 일조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일각에서는 그가 정면으로 문제를 제기하는 동시에 적극적으로 몸을 움직이는 것은, 대선에 임박해 뒤늦게라도 분열을 봉합하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풀이한다.
이제 공은 김문수 후보에게 넘어갔다. “18일까지 결단을 보이길 바란다”는 한동훈 전 대표의 압박이 과연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 그리고 탈당을 선언한 윤석열 전 대통령의 선택이 후속 지각변동을 일으킬지 귀추가 주목된다.
댓글 0
뉴스
“핵심 진술 신빙성 부족”…‘라임 금품수수’ 기동민·이수진 1심 무죄

“연말을 앞당긴 칼질” 신세계 첫 임원인사, 판을 다시 짰다

“핵 없인 안전 없다” 김정은, 비핵화 선 그으며 ‘핵 방패·핵 검’ 갈겠다

“10월 1일 시작” 외산 대형트럭 25% 관세…트럼프, 안보 논리로 정면 돌파

“명절 전 숨통 트인다” SK하이닉스, 협력사에 2655억 조기 집행

“최초로 길을 냈던 웃음의 개척자” 전유성, 우리 곁을 떠나다

'3617번 수용자' 윤석열, 특검 재판 첫 출석…긴장감 속 법정 풍경

네이버-업비트 결합 임박… 국내 디지털금융 판도 바뀌나

60억 신고한 김상호 비서관, 대통령실 최고 자산가로 떠올라

댈러스 ICE 시설 총격 3명 사상… 트럼프 “좌파가 법집행을 괴물로 만들었다”

샤오미, “가격은 합리적으로·경험은 고급으로” 한국 공략 가속

“잃어버린 성보, 고향 품으로” 일본서 돌아온 조선 불화 2점

내일, 카메라 앞에 선다…보석 심문은 막았다

“TV에서 시작해 모든 가전으로” LG, 시니어 공략 전면전 선언

“원칙은 지키고, 이익은 나눈다” 한·미 관세 협상 분수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