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서 사라진 22세”…고문 끝 심장마비, 남겨진 가족의 두 번째 비극

“캄보디아서 사라진 22세”…고문 끝 심장마비, 남겨진 가족의 두 번째 비극
사건 핵심 정리
여름방학이 막 시작된 7월, 국내 대학생 A(22)씨는 캄보디아 박람회 참관을 이유로 출국했다. 일주일 남짓 지난 뒤, 가족에게 낯선 번호가 걸려왔다. 발신자는 중국 동포로 알려진 남성. 그는 “사고를 쳐 붙잡아 뒀다”며 현금 5천만 원을 요구했다. 가족은 즉시 현지 공관과 경찰에 신고했지만, 위치 특정은 불발됐다. 협박 연락은 나흘 만에 끊겼다.
발견은 8월 8일에 이뤄졌다. 장소는 캄보디아 캄폿주의 보코산 범죄단지 인근. 공관과 현지 수사당국은 “고문과 격심한 통증이 촉발한 심장마비가 사인”이라고 밝혔다. A씨의 유해는 부검과 현지 화장 절차를 거쳐 이달 중 국내로 인도될 예정이라고 한다.
유족은 “사망진단서에 적힌 고통의 기록을 보는 것만으로도 밤을 지새운다”며 “냉동고에 머무르는 현실이 또 한 번 마음을 부순다”고 토로했다. 경찰은 캄보디아 경찰과 공조해 사건 배후로 지목되는 범죄조직 연계 여부를 추적 중이다.
통계도 심상치 않다. 캄보디아 내 한국인 납치 신고는 2022~2023년 연간 10~20건 수준이었지만, 지난해 220건으로 급증했고 올해는 8월까지 330건으로 집계됐다. 급격한 증가세는 ‘저비용 취업·투자’ 미끼형 범죄와 감금·폭행을 결합한 수법이 조직화·일상화됐음을 방증한다.
보코산 일대가 위험한 이유
보코산 주변은 과거부터 온라인 사기와 감금이 얽힌 범행 거점으로 지목돼 왔다. 고지대 리조트·단지 형태로 개발된 구역 일부가 외부 접근 통제가 쉬워, 인신구속과 폭력이 은폐되기 용이하다는 지적이 반복됐다. ‘면접’ ‘박람회’ ‘단기 체험’ 같은 합법의 외피가 동원되고, 도착 후 여권을 회수·격리하는 방식이 전형적이다.
이번 사건에서도 연락책은 “사고를 쳤다”는 자기책임 프레임으로 가족을 흔들었다. 돈을 보내면 풀어주겠다는 말은 흔한 시간끌기 전술이다. 협박이 끊긴 뒤 현지 수사로 시신이 확인된 점은, 피해자의 통신·이동 동선이 초기에 조직 내에서 차단됐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경보·예방 체크리스트
1) 여행경보 현황
프놈펜에는 여행자제(2단계)가, 시하누크빌·보코산·바벳 등에는 특별여행주의보(2.5단계)가 각각 내려져 있다. 외교당국은 해당 지역 방문 계획은 취소·연기하고, 체류 중인 경우 안전지역으로 이동하라고 당부했다.
2) 출국 전
‘박람회·면접·단기 아르바이트’ 제안은 회사 실체·초청장·현지 주소를 모두 교차검증해야 한다. 구두 계약·메신저 링크만으로는 금물. 여권 원본을 사전에 스캔해 가족과 별도 공유하고, 공관 연락처와 24시간 비상연락망을 휴대전화 바탕화면에 저장해 둔다.
3) 현지에서
도착 직후 여권·폰·결제수단을 누군가가 맡겠다고 하면 즉시 거절. 숙소·이동 경로를 실시간 공유하고, 위치공유가 끊기면 가족이 즉시 공관·경찰에 신고하도록 합의해 둔다. 낯선 ‘투자설명회’·‘알바 사전교육’ 등의 폐쇄형 모임은 출입 자체를 피하라.
4) 위기 발생 시
금전 요구가 오면 협상·송금에 앞서 공관-경찰 동시 신고가 원칙. 메시지는 보관하고, 계좌·지갑 주소·콜백 번호 등 인수증거를 남긴다. 직접 접촉·자력 구조 시도는 2차 피해로 번질 수 있다.
남겨진 과제
이번 비극은 개인의 부주의로 환원될 수 없다. 국경을 넘는 인신매매형 사기는 단일 국가의 치안만으로 막기 어렵다. 수사 공조의 속도와 범위를 넓히고, 채용·전시·체험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리크루팅 채널을 겨냥해 사전 차단 장치를 강화해야 한다. 무엇보다, “괜찮겠지”라는 낙관을 깨뜨릴 실감형 경보가 시급하다.
댓글 0
뉴스
통신·금융 최전선 연합! 보이스피싱 막기 위한 강력 드라이브

190억 물관리 빅딜! KT·K-water AI‧클라우드 DX 프로젝트 전모

“스마트폰 0원?” SKT·KT·LGU+ ‘100만원 폭탄 지원금’…거리마다 대기줄 폭발

LG CNS, AI 신대륙 개척 위해 대규모 채용 - 혁신적인 AX 전략

정보보호 인재 쟁탈전 2025 - 사이버 보안 전문가 모여라

단통법 해제 앞둔 갤S25, 예상을 뛰어넘은 판매 폭발

SKT 가입자를 노린 위험한 유혹 - 불안 마케팅의 실체

공격적 보조금 경쟁 속, 갤럭시S25 시리즈 돌풍 - 통신사 지원금 확대

SKT, 산간 직접 찾아가 유심 교체 지원…전국 서비스 확대 예고

아디다스 해킹 사태 속 고객정보 위협

또 한 번의 파격! 초슬림 ‘갤럭시 S25 엣지’가 선사하는 미래

AI 대격변 시대, 대한상의 ‘333 비전’으로 세계 3강 노린다

“대규모 가입 폭주” SKT 심(USIM) 안전망, 2천만 명대 돌파

SKT 해킹 파문 확산 - 유심보호·교체 급증

2시간 넘게 배 타고도 헛걸음? 섬 주민 울리는 유심 교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