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날부터 멈춘 워싱턴” — 상원, 임시예산 두 번 모두 좌초…3일 재표결 관측

“첫날부터 멈춘 워싱턴” — 상원, 임시예산 두 번 모두 좌초…3일 재표결 관측
목차
1. 무엇이 표류했나
2. 왜 길어질 수 있나
1. 무엇이 표류했나
셧다운 첫날인 10월 1일(현지), 상원은 서로 다른 성격의 임시예산 두 건을 연달아 표결에 부쳤지만 둘 다 문턱을 넘지 못했다. 민주당안은 찬성 47·반대 53으로 멈췄고, 공화당이 주도해 하원을 통과시킨 안도 55대45로 절차 장벽(60표)에 막혔다.
민주당 측 제안에는 10월 말까지의 임시지출과 보건의료 보조 유지가 담겼고, 공화당 안은 11월 21일까지의 운영과 일부 감축이 섞였다. 그러나 가결에 필요한 초당적 연대는 끝내 만들어지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연방정부는 2018~19년 이후 처음으로 가동을 멈췄다.
백악관은 즉각 여론전에 들어갔다. 카롤라인 레빗 대변인은 X에 “민주당이 셧다운을 초래했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잇달아 올렸고, 장기화 시 대규모 인력조정 가능성도 경고했다.
2. 왜 길어질 수 있나
첫째, 정치적 책임공방이 타협 여지를 잠식하고 있다. 공화당은 지출 억제를, 민주당은 의료·사회지출 방어를 각각 ‘양보 불가선’으로 못박았다. ‘누가 셧다운을 만들었는가’라는 프레임이 표결장 안팎을 지배하는 한, 60표 장벽을 넘을 만한 절충안이 나오기 어렵다.
둘째, 정책 묶음의 비대화다. 올여름 통과된 이른바 ‘One Big Beautiful Bill(OBBBA)’은 이민단속·국경통제 예산에 장기·대규모 재원을 열어 두었다는 분석이 이어진다. 이로 인해 ICE 등 일부 기관은 셧다운 충격을 상대적으로 흡수하지만, 그 반작용으로 다른 영역의 압박과 정치적 갈등이 더 커진다. “버팀목이 있는 쪽만 버틸 수 있는” 비대칭 구조가 협상 동기를 떨어뜨린다는 지적이다.
셋째, 시계와 수사(修辭)의 경쟁이다. 행정부는 ‘시간이 곧 비용’임을 강조하며 셧다운 장기화 시 고용·서비스 차질을 예고했고, 의회 지도부는 10월 3일 재시도를 거론하지만 표 계산은 여전히 가팔라 보인다. “멈춰 선 기차를 밀기 전에 먼저 방향부터 합의해야 한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상원은 3일 다시 움직일 전망이다. 다만, 임시지출 시한과 보건의료 지원 조항, 이민·국경 항목의 재편 등 쟁점 중 하나라도 손대면 다른 쪽이 이탈하는 ‘빼기의 정치’가 반복될 가능성이 크다. 그 사이 연방 공무원과 계약업체, 수혜자들은 ‘불 꺼진 창구’ 앞에서 하루하루를 견뎌야 한다. 셧다운이란, 결국 예산서의 숫자가 아니라 시민의 생활시간을 깎아내는 절차라는 사실이 또렷해졌다.
한눈에 보는 핵심 포인트
• 상원, 임시예산 2건 연속 좌초 — 민주당안 47–53, 공화당안 55–45(60표 필요)
• 백악관, 민주당 책임론·장기화 시 감원 경고…야당은 복지·의료 축소 방어 내세워 맞불
• OBBBA로 ICE 등 이민단속 예산 방어막…타 부문 충격·갈등 증폭 가능성
• 10월 3일 재표결 관측…절충안 도출 여부가 관건
댓글 0
뉴스
“멈췄던 부동산 민원, 내일 9시부터 다시 달린다”

“다시 2%대” 9월 물가, 장바구니가 끌어올렸다

“헤마타이트가 국가 전략기술로”… 고려아연, 아연 공급망의 중심에 서다

“기프티콘 수수료 떠넘기고 장비 강매”…메가커피에 공정위 과징금 22.92억

“합쳐도 내 마일은 안전할까?” 아시아나 포인트, 10년 보호와 전환 공식 총정리

우리금융, 5년 80조 베팅… 돈의 흐름을 ‘생산’과 ‘포용’으로 돌린다

구자은 “파도는 이미 왔다”…LS, 세계질서 격변 속 신사업 가속

“연말을 앞당긴 칼질” 신세계 첫 임원인사, 판을 다시 짰다

네이버-업비트 결합 임박… 국내 디지털금융 판도 바뀌나

“TV에서 시작해 모든 가전으로” LG, 시니어 공략 전면전 선언

“0.9%로 소폭 상향” IMF, 한국 성장 진단… 추경과 완화정책이 마중물

롯데카드 ‘해킹 파문’…국회 소환·정부 최고수준 제재 경고

“8만전자”가 불쏘시개… 코스피 장중 3480선 스치며 또 최고 기록

“제때 안 와서 상한 땅콩”…추석 앞두고 택배 분쟁 급증, 소비자 경보

롯데카드 해킹 파문, 297만명 피해…경찰·정부 강력 대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