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때 안 와서 상한 땅콩”…추석 앞두고 택배 분쟁 급증, 소비자 경보

“제때 안 와서 상한 땅콩”…추석 앞두고 택배 분쟁 급증, 소비자 경보
1. 명절 특수, 보호망은 얇았다
대목을 앞두고 배송 지연이 길어지면 물건이 멀쩡히 도착해도 이미 가치가 떨어질 수 있다. 땅콩을 맡겼던 A씨는 약 열흘 뒤 도착한 상품이 변질돼 버렸지만, 택배사의 배상 장벽에 막혀 결국 한국소비자원 문을 두드렸다.
소비자원은 9월 21일, 추석 기간 같은 사례가 더 늘 것으로 보고 택배 거래 피해예방 주의보를 발령했다. 최근 3년 동안 접수된 택배 관련 피해구제 신청은 총 1,149건. 해마다 300건을 훌쩍 넘는 신고가 이어졌다는 뜻이다.
2. 어느 회사에서, 무엇이 문제였나
접수의 76.5%는 상위 5개 사업자에 집중됐다. 비중을 보면 CJ대한통운이 30.0%로 가장 컸고, 경동택배 13.5%, 롯데글로벌로지스 12.1%, GS네트웍스(편의점 택배) 10.8%, 한진 10.1% 순이었다.
피해 유형은 ‘훼손·파손’이 42.3%로 가장 많았고 ‘분실’이 37.1%로 뒤를 이었다. 단순 사고를 넘어, 파손이 있었는데도 배상을 거부하거나 분실 후 보상이 지연되는 등 후속 대응 미흡이 반복됐다는 지적이다.
기업·당국의 움직임
소비자원과 공정거래위원회는 주요 사업자들과 간담회를 열어 분석결과를 공유했다. 이 자리에서 △면책 조항 고지 강화 △사고 시 신속 보상 절차 가동 △상담·안내 체계 보완 등을 권고했다. 또한 개인 간 거래에서 수취인이 물건을 가로채는 이른바 ‘편의점 택배 절도형 사기’가 새 위험 요인으로 떠오르자, 편의점 업계에도 예방 조치를 주문했다.
소비자가 챙길 체크리스트
명절 택배는 고속도로처럼 붐빈다. 차선을 잘못 타면 빠져나오기 어렵듯, 처음부터 안전장치를 갖추는 편이 훨씬 이득이다.
1) 시간·가치 관리: 변질 위험이 큰 식품·농산물은 도착 시점이 가격이다. 반드시 배송 예정일을 확인하고, 지연 가능성을 판매·구매자와 사전 합의하자.
2) 증빙 확보: 포장 전·후 사진, 영수증, 운송장, 제품 상태를 연속 사진·영상으로 남겨 두면 배상 분쟁의 핵심 증거가 된다.
3) 약관과 면책: 파손·지연 시 배상 범위를 정한 운송약관을 확인하고, 고가·파손 우려 물품은 추가 보험 가입 여부를 살펴보자.
4) 편의점 택배 주의: 개인 간 거래라면, 수취인 확인 절차(본인 인증, 수령 코드 공유 금지, CCTV 있는 점포 이용)를 철저히 하고, 고가 물품은 대면 거래·안심결제로 전환하는 게 안전하다.
5) 사고 발생 시 즉시 통보: 이상을 발견하면 24시간 내 택배사 고객센터와 발송점에 동시에 알리고, 상담 내역을 문서·문자로 확보하자. 한국소비자원(1372) 분쟁조정도 병행하면 처리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왜 지금, 왜 우리에게 중요한가
명절 특수는 경제가 살아 숨 쉬는 신호다. 그러나 포장 상자가 종착지에 안전하게 닿지 못하면, 비용은 소비자가 떠안는다. 정시 배송·책임 배상은 서비스의 기본이다. 당국의 권고가 현장에서 실질 변화로 이어질지, 이번 연휴가 시험대다.
댓글 0
뉴스
美·韓 ‘MASGA’ 모자, 빨간 캡 하나에 담긴 거대한 조선 시나리오

“10억 ↘ 50억?” 주식세제 놓고 민주당 ‘엇박자 교차로’

충돌 앞둔 파란 물결, 민주당 새 선장 오늘 결정

“사그라든 불씨 다시 타오르다” 전남 나주 켄텍의 화려한 귀환

3,500억 달러 관세 돌파…이재명, 美시장 ‘수출 황금길’ 열다

정치 탄압 주장 vs 사실 확인 요청…안철수·내란특검, 같은 문자 다른 해석

하청 파업 ‘도미노 폭탄’…경총 “제조업 뿌리째 흔들릴 판”

새벽 기습 압수수색…김건희 특검, 권성동 의원실 전격 급습

“폭우엔 한계가 없다” — 이재명, 전 부처에 ‘슈퍼비상령’ 발동

이재명, 검‧경 한몸으로 ‘이태원의 밤’ 재조사 선언

“표절은 없다” — 학계 현실로 방패 세운 이진숙 후보

3%룰 재점화, 주주권을 깨우다

이재명 지지율 64.6%…광화문 건배 한 번에 민심이 끓었다

“단 한 명도 못 넘긴다” vs “두 명은 떨어뜨린다” 청문회 격돌 예고

새 내각 퍼즐 완성…이재명式 혁신 드라이브 본격 시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