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그리넷

경제

“연 100만 톤×20년” 포스코인터, 알래스카 LNG 예비합의… 트럼프도 눈독

M
관리자
2025.09.13 추천 0 조회수 21 댓글 0

“연 100만 톤×20년” 포스코인터, 알래스카 LNG 예비합의… 트럼프도 눈독

“연 100만 톤×20년” 포스코인터, 알래스카 LNG 예비합의… 트럼프도 눈독

1. 한 줄 핵심

 

포스코인터내셔널이 미국 에너지 인프라 개발사 글렌파른(Glenfarne)과 손잡고 알래스카 LNG 사업 참여를 타진한다. 합의는 비구속적 예비 계약으로, 연 100만 톤을 20년 동안 인수하는 구상과 약 1,300km 규모의 가스관에 투입될 철강재 공급 검토가 포함됐다.

 

2. 배경과 의미

 

이번 논의는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가스텍(Gastech) 2025 현장에서 급물살을 탔다. 알래스카 북극권 프루도 베이에서 채취한 가스를 남쪽 니키스키까지 송관으로 내려 보내 액화해 수출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로, 총사업비는 약 440억 달러로 거론된다. 과거에는 리스크 부담으로 속도가 붙지 못했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이후 사업에 관심을 표하며 동력이 재점화됐다.

 

국내 기업으로는 포스코인터가 사실상 첫 공식 검토 주자로 나섰다. 북미산 LNG의 안정적 도입과 철강·에너지 밸류체인의 확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겨냥한 행보다. 프로젝트 주관사인 글렌파른 역시 “한국의 참여가 일정 단축에 기여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내며 파트너십 확대를 시사했다.

 

프로젝트 구조 재정의: “강판에서 분자까지”

 

이번 예비합의의 특징은 단순 구매선 확보를 넘어 라이프사이클 참여 가능성을 내비친 점이다. 가스관 건설에 들어갈 고급 강재 수요는 포스코 그룹의 소재 경쟁력과 직결되고, 장기 인수계약은 포트폴리오 분산가격 변동성 완충 수단이 될 수 있다. 쉽게 말해, “강판을 만들던 기업이 가스의 흐름까지 설계한다”는 구도다.

 

다만 LOI(의향서) 성격이어서 당장 구속력은 없다. 포스코인터는 “수익성·타당성 검증을 거쳐 최종 투자 여부를 정하겠다”고 선을 그었다. 운송 인프라, 액화 설비, 환경 인허가, 금융조달 등 총체적 리스크가 남아 있어, 상업가동까지는 다단계 관문을 넘어야 한다.

 

정치·지정학 변수: ‘워싱턴의 온도’가 수요曲선 바꾼다

 

미 행정부의 에너지 안보 기조, 아시아 수요 회복, 유럽의 대체가스 전략이 맞물리며 북미 LNG는 다시 스포트라이트를 받는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한미 정상 간 대화에서도 한·일 투자 가능성을 언급하며 사업 추진 의지를 비쳤다. 수입선 다변화가 절실한 한국 입장에선, 알래스카발 신규 물량은 장기 베이스로드 옵션이 될 수 있다.

 

반면 파이프라인 최적화, 환경영향, 지역 커뮤니티 합의, 글로벌 LNG 가격 사이클 등은 변동요인이다. 특히 20년 계약은 호재이자 족쇄가 될 수 있어, 헤지 전략과 단계적 마일스톤 연계가 핵심이다.

 

숫자로 보는 큰 그림

 

① 100만 톤/년 × 20년—한국 내 수요·터미널 처리능력·선박 할당과의 정합성 점검 필요.

② 약 1,300km 송관—고내식·저온 인성 등 고급 강재 수요 창출. 소재-시공-운영 전주기 협업 모델 유효.

③ 440억 달러 규모—자본비용 상승 국면에서 프로젝트 파이낸싱 설계가 승부처. EPC 리스크 분담 구조가 관건.

 

무엇이 다음 단계인가

 

향후 일정은 ▲리스크 프레이밍(수요·운임·금리·환율) ▲기술·환경 적합성 검토 ▲오프테이크 조건의 세부 협상 ▲소재 공급 사양 확정 순으로 예상된다. 시장에선 “파일럿 성격의 조건부 수량과 단계별 커밋”이 현실적인 절충안으로 거론된다.

요약하면, 이번 합의는 ‘실탄 장전’이 아니라 ‘조준점 설정’에 가깝다. 그럼에도 한국 기업이 북미 대형 LNG 밸류체인에 다시 발을 들였다는 사실은, 에너지 안보와 산업소재 경쟁력 측면에서 전략적 신호탄으로 읽힌다.

 

결론

 

포스코인터의 행보는 단기 뉴스보다 중장기 스토리에 가깝다. 불확실성은 적지 않지만, 원가·안보·탄소를 동시에 관리해야 하는 시대에, 알래스카 LNG는 한국의 에너지 포트폴리오를 재설계할 잠재적 축이 될 수 있다. 이제 공은 숫자와 기술, 그리고 정책의 교차점으로 넘어갔다.

 

관련 출처

Reuters 보도

뉴스1 원문

 

댓글 0

뉴스

전체 정치 경제 사회 생활/문화 IT/과학 세계이슈 연예 건강
경제

“체코 원전 시장, 한국이 돌파구 열었다” 예측 무성

M
관리자
조회수 869
추천 0
2025.05.08
“체코 원전 시장, 한국이 돌파구 열었다” 예측 무성
경제

체코전력의 초강수? 한수원 원전계약 앞두고 거센 파장

M
관리자
조회수 819
추천 0
2025.05.08
체코전력의 초강수? 한수원 원전계약 앞두고 거센 파장
경제

서울 냉면값 치솟다 - 평양냉면 가격 급등 소식

M
관리자
조회수 897
추천 0
2025.05.06
서울 냉면값 치솟다 - 평양냉면 가격 급등 소식
경제

당신 모르는 154조원? 치매머니 폭증의 숨은 함정

M
관리자
조회수 843
추천 0
2025.05.06
당신 모르는 154조원? 치매머니 폭증의 숨은 함정
경제

은행 예대금리차 급등, 예금금리는 계속 하락 중

M
관리자
조회수 830
추천 0
2025.05.05
은행 예대금리차 급등, 예금금리는 계속 하락 중
경제

대선 테마주 급등락, '빚투' 부추기며 시장 혼란 - 투자경고 종목 역대 최대

M
관리자
조회수 868
추천 0
2025.05.05
대선 테마주 급등락, '빚투' 부추기며 시장 혼란 - 투자경고 종목 역대 최대
경제

서울 아파트 거래 급감, 65% 하락…대선 후 회복 가능성

M
관리자
조회수 917
추천 0
2025.05.05
서울 아파트 거래 급감, 65% 하락…대선 후 회복 가능성
경제

전격 발표! 백종원의 ‘50억 통큰 결단’ 업계 뒤집는다

M
관리자
조회수 873
추천 0
2025.05.02
전격 발표! 백종원의 ‘50억 통큰 결단’ 업계 뒤집는다
경제

13조8천억 초대형 추경안 전격 타결 - 여야 협치 시동

M
관리자
조회수 891
추천 0
2025.05.01
13조8천억 초대형 추경안 전격 타결 - 여야 협치 시동
경제

서울 땅값 4.02% 껑충, 강남·용산 5% 넘었다 - 공시지가 상승세

M
관리자
조회수 950
추천 0
2025.05.01
서울 땅값 4.02% 껑충, 강남·용산 5% 넘었다 - 공시지가 상승세
경제

LH, 지역 건설시장에 불씨 살리나”…지방 미분양 물량 매입 신청 ‘봇물’

M
관리자
조회수 872
추천 0
2025.05.01
LH, 지역 건설시장에 불씨 살리나”…지방 미분양 물량 매입 신청 ‘봇물’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