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100만 톤×20년” 포스코인터, 알래스카 LNG 예비합의… 트럼프도 눈독

“연 100만 톤×20년” 포스코인터, 알래스카 LNG 예비합의… 트럼프도 눈독
1. 한 줄 핵심
포스코인터내셔널이 미국 에너지 인프라 개발사 글렌파른(Glenfarne)과 손잡고 알래스카 LNG 사업 참여를 타진한다. 합의는 비구속적 예비 계약으로, 연 100만 톤을 20년 동안 인수하는 구상과 약 1,300km 규모의 가스관에 투입될 철강재 공급 검토가 포함됐다.
2. 배경과 의미
이번 논의는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가스텍(Gastech) 2025 현장에서 급물살을 탔다. 알래스카 북극권 프루도 베이에서 채취한 가스를 남쪽 니키스키까지 송관으로 내려 보내 액화해 수출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로, 총사업비는 약 440억 달러로 거론된다. 과거에는 리스크 부담으로 속도가 붙지 못했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이후 사업에 관심을 표하며 동력이 재점화됐다.
국내 기업으로는 포스코인터가 사실상 첫 공식 검토 주자로 나섰다. 북미산 LNG의 안정적 도입과 철강·에너지 밸류체인의 확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겨냥한 행보다. 프로젝트 주관사인 글렌파른 역시 “한국의 참여가 일정 단축에 기여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내며 파트너십 확대를 시사했다.
프로젝트 구조 재정의: “강판에서 분자까지”
이번 예비합의의 특징은 단순 구매선 확보를 넘어 라이프사이클 참여 가능성을 내비친 점이다. 가스관 건설에 들어갈 고급 강재 수요는 포스코 그룹의 소재 경쟁력과 직결되고, 장기 인수계약은 포트폴리오 분산과 가격 변동성 완충 수단이 될 수 있다. 쉽게 말해, “강판을 만들던 기업이 가스의 흐름까지 설계한다”는 구도다.
다만 LOI(의향서) 성격이어서 당장 구속력은 없다. 포스코인터는 “수익성·타당성 검증을 거쳐 최종 투자 여부를 정하겠다”고 선을 그었다. 운송 인프라, 액화 설비, 환경 인허가, 금융조달 등 총체적 리스크가 남아 있어, 상업가동까지는 다단계 관문을 넘어야 한다.
정치·지정학 변수: ‘워싱턴의 온도’가 수요曲선 바꾼다
미 행정부의 에너지 안보 기조, 아시아 수요 회복, 유럽의 대체가스 전략이 맞물리며 북미 LNG는 다시 스포트라이트를 받는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한미 정상 간 대화에서도 한·일 투자 가능성을 언급하며 사업 추진 의지를 비쳤다. 수입선 다변화가 절실한 한국 입장에선, 알래스카발 신규 물량은 장기 베이스로드 옵션이 될 수 있다.
반면 파이프라인 최적화, 환경영향, 지역 커뮤니티 합의, 글로벌 LNG 가격 사이클 등은 변동요인이다. 특히 20년 계약은 호재이자 족쇄가 될 수 있어, 헤지 전략과 단계적 마일스톤 연계가 핵심이다.
숫자로 보는 큰 그림
① 100만 톤/년 × 20년—한국 내 수요·터미널 처리능력·선박 할당과의 정합성 점검 필요.
② 약 1,300km 송관—고내식·저온 인성 등 고급 강재 수요 창출. 소재-시공-운영 전주기 협업 모델 유효.
③ 440억 달러 규모—자본비용 상승 국면에서 프로젝트 파이낸싱 설계가 승부처. EPC 리스크 분담 구조가 관건.
무엇이 다음 단계인가
향후 일정은 ▲리스크 프레이밍(수요·운임·금리·환율) ▲기술·환경 적합성 검토 ▲오프테이크 조건의 세부 협상 ▲소재 공급 사양 확정 순으로 예상된다. 시장에선 “파일럿 성격의 조건부 수량과 단계별 커밋”이 현실적인 절충안으로 거론된다.
요약하면, 이번 합의는 ‘실탄 장전’이 아니라 ‘조준점 설정’에 가깝다. 그럼에도 한국 기업이 북미 대형 LNG 밸류체인에 다시 발을 들였다는 사실은, 에너지 안보와 산업소재 경쟁력 측면에서 전략적 신호탄으로 읽힌다.
결론
포스코인터의 행보는 단기 뉴스보다 중장기 스토리에 가깝다. 불확실성은 적지 않지만, 원가·안보·탄소를 동시에 관리해야 하는 시대에, 알래스카 LNG는 한국의 에너지 포트폴리오를 재설계할 잠재적 축이 될 수 있다. 이제 공은 숫자와 기술, 그리고 정책의 교차점으로 넘어갔다.
관련 출처
댓글 0
뉴스
‘관세·내수 부진·중동 리스크’ 3중 압박…제조업계에 다시 깜빡인 적신

“빌릴 수 있는 돈은 최대 6억”…부동산 과열에 브레이크 걸린다

취임 23일 만에 ‘6억 스톱’…이재명式 대출 쇼크가 몰려온다

반세기 전 첫 불을 밝힌 고리 1호기, 드디어 해체 카운트다운

SK엔무브 네껀째 좌절, ‘코리아 디스카운트’ 판 흔드나

첫 단추 끼운 한‧미 통상 대화, 관세 장벽 넘어 협력 시동

‘유리천장 깨부순’ 한성숙, 네이버 첫 女 CEO에서 중기부 수장으로

“움직이는 청정 발전소” 디 올 뉴 넥쏘

LG, 1조2600억 ‘파주 올인’…조 단위 국내 투자 본격화 신호탄

트럼프發 관세 태풍에도 하이브리드가 지킨 ‘수출 방파제’

울산 바다에 뜨는 ‘GPU 6만 장’ 데이터 함대

“관세 폭풍 맞기 전에”… 제네시스, 르망서 ‘그린 럭셔리’ 깃발 꽂다

“50% 벽” 트럼프 관세…韓 가전업계 ‘생산지도’를 다시 그리다

美, 냉장고·세탁기까지 50% 관세?…한국 가전업계 ‘태풍의 눈’

트럼프의 ‘마감 카운트다운’…이재명式 통상외교, G7에서 승부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