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0원?” SKT·KT·LGU+ ‘100만원 폭탄 지원금’…거리마다 대기줄 폭발

“스마트폰 0원?” SKT·KT·LGU+ ‘100만원 폭탄 지원금’…거리마다 대기줄 폭발
1. ‘통신판 블랙프라이데이’의 서막
불과 한 달 전, 대규모 정보 유출로 40만 명 넘는 이용자가 등 돌린 SK텔레콤이 반격 카드를 꺼냈다. 자사 인기 요금제 가입 시 갤럭시 S25·아이폰 16 프로에 최대 70만 원, 판매점 인센티브 30만 원을 더해 총 100만 원 안팎의 ‘폭탄 지원금’을 투하한 것이다. 시내 거리엔 새 유심을 받으려는 이들이 길게 줄을 섰고, 계속 빠져나가던 SKT 가입자 수는 모처럼 ‘순증’으로 돌아섰다.
업계 관계자는 “온라인 커뮤니티마다 ‘이번에 못 바꾸면 손해’라는 글이 쏟아지면서, 사실상 통신판 블랙프라이데이가 시작됐다”고 전했다.
2. KT·LGU+도 매대에 ‘생존 세일’ 걸다
KT는 발 빠르게 70만 원 보조금으로 맞불을 놓았고, LG유플러스는 ‘단말기 공짜+현금 페이백’까지 내걸며 참전을 선언했다. KT로 흡수된 SKT 이탈 고객이 늘자, 세 업체 모두가 ‘물러설 곳 없는’ 전면전을 펼치는 형국이다.
특히 아이폰처럼 보조금이 박한 제품까지 할인폭이 커지자 소비자들은 “10년 만에 보는 파격”이라며 환호했다. 출시 당시 6만~24만 원에 불과하던 갤럭시 S25 보조금이 이번 프로모션으로 70만 원까지 급상승, 실구매가가 30만 원대로 뚝 떨어졌다.
3. 규제·유통 구조가 만든 ‘틈새’
아이러니하게도 SKT 직영점·대리점은 정부 제재로 신규 고객을 받을 수 없다. 대신 일반 판매점(소위 ‘바지 사장’ 매장)이 보조금 전쟁의 전면에 나섰다. 업계는 “공식 창구가 묶인 사이, 오히려 판매점이 지원금을 키워 고객을 끌어모으는 역설적 상황”이라고 분석한다.
유통 구조가 복잡할수록 장려금이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것은 오래된 관행이다. 이번 사태가 그 ‘그림자’를 다시 드러낸 셈이다.
4. 소비자가 챙길 ‘두 가지 포인트’
- 지원금은 ‘선착순·한시’로 변동되므로 매장별 잔여 물량·계약 조건을 실시간 확인해야 한다.
- 보조금이 크더라도 높은 요금제를 장기간 유지해야 하는지 반드시 따져봐야 ‘역대급 할인’이 진짜 이득이 된다.
5. ‘대란’ 뒤 남는 숙제
전문가들은 “단기적 ‘돈 뿌리기’가 해킹으로 무너진 신뢰 회복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라고 말한다. 동시에 규제 당국은 시장 교란을 우려하며 추가 조사 가능성을 시사했다. 소비자에게는 호재지만, 통신사가 감당해야 할 비용과 후폭풍도 만만치 않다.
현재(5월 30일 기준) SKT 유심 교체자는 555만 명, 대기자는 358만 명에 달한다. 업계가 ‘보조금 과열→규제→물밑 경쟁’의 악순환을 끊지 못하면 같은 소동이 반복될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댓글 0
뉴스
재계 상반기 보수 격차…두산·한화 고액, 삼성 무보수

이재명 정부, 금융당국 첫 지휘부 확정…이억원-이찬진 ‘투톱 체제’ 가동

삼성전자, 세계 최초 마이크로 RGB TV로 기술 초격차 선언

5000만원 이하 연체자, 올해 안 갚으면 신용이력 '싹' 지워준다

포스코이앤씨 사고 현장 긴급 점검…장인화 회장, “원인 뿌리까지 파헤친다”

‘규제 덩어리’에 숨 막힌 기업, 정부 “싹 뜯어고친다”

관세전쟁, 2라운드 시작…최태원 “끝난 줄 착각 마라”

삼성전자 임원진, 자사주 보따리로 ‘책임 경영’ 시동

“현금 대신 주식”…513억 자사주로 쏜 삼성, 무엇이 달라지나?

‘HBM4 전쟁’ 막 올랐다: 삼성은 재기 노리고, SK는 질주한다

삼성, 1c 나노 HBM4로 반격…메모리 패권 다시 흔든다

“관세 장벽을 허물다” 삼성·현대차·한화의 숨은 교섭 시나리오

포스코이앤씨, 다섯 번의 비극 끝에 대통령 직격탄 맞다

테슬라 23조 수주, 삼성 파운드리 반격의 서막

中 AI 파고에 맞서라, 韓 제조업의 돌파구는 ‘데이터 동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