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0원?” SKT·KT·LGU+ ‘100만원 폭탄 지원금’…거리마다 대기줄 폭발

“스마트폰 0원?” SKT·KT·LGU+ ‘100만원 폭탄 지원금’…거리마다 대기줄 폭발
1. ‘통신판 블랙프라이데이’의 서막
불과 한 달 전, 대규모 정보 유출로 40만 명 넘는 이용자가 등 돌린 SK텔레콤이 반격 카드를 꺼냈다. 자사 인기 요금제 가입 시 갤럭시 S25·아이폰 16 프로에 최대 70만 원, 판매점 인센티브 30만 원을 더해 총 100만 원 안팎의 ‘폭탄 지원금’을 투하한 것이다. 시내 거리엔 새 유심을 받으려는 이들이 길게 줄을 섰고, 계속 빠져나가던 SKT 가입자 수는 모처럼 ‘순증’으로 돌아섰다.
업계 관계자는 “온라인 커뮤니티마다 ‘이번에 못 바꾸면 손해’라는 글이 쏟아지면서, 사실상 통신판 블랙프라이데이가 시작됐다”고 전했다.
2. KT·LGU+도 매대에 ‘생존 세일’ 걸다
KT는 발 빠르게 70만 원 보조금으로 맞불을 놓았고, LG유플러스는 ‘단말기 공짜+현금 페이백’까지 내걸며 참전을 선언했다. KT로 흡수된 SKT 이탈 고객이 늘자, 세 업체 모두가 ‘물러설 곳 없는’ 전면전을 펼치는 형국이다.
특히 아이폰처럼 보조금이 박한 제품까지 할인폭이 커지자 소비자들은 “10년 만에 보는 파격”이라며 환호했다. 출시 당시 6만~24만 원에 불과하던 갤럭시 S25 보조금이 이번 프로모션으로 70만 원까지 급상승, 실구매가가 30만 원대로 뚝 떨어졌다.
3. 규제·유통 구조가 만든 ‘틈새’
아이러니하게도 SKT 직영점·대리점은 정부 제재로 신규 고객을 받을 수 없다. 대신 일반 판매점(소위 ‘바지 사장’ 매장)이 보조금 전쟁의 전면에 나섰다. 업계는 “공식 창구가 묶인 사이, 오히려 판매점이 지원금을 키워 고객을 끌어모으는 역설적 상황”이라고 분석한다.
유통 구조가 복잡할수록 장려금이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것은 오래된 관행이다. 이번 사태가 그 ‘그림자’를 다시 드러낸 셈이다.
4. 소비자가 챙길 ‘두 가지 포인트’
- 지원금은 ‘선착순·한시’로 변동되므로 매장별 잔여 물량·계약 조건을 실시간 확인해야 한다.
- 보조금이 크더라도 높은 요금제를 장기간 유지해야 하는지 반드시 따져봐야 ‘역대급 할인’이 진짜 이득이 된다.
5. ‘대란’ 뒤 남는 숙제
전문가들은 “단기적 ‘돈 뿌리기’가 해킹으로 무너진 신뢰 회복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라고 말한다. 동시에 규제 당국은 시장 교란을 우려하며 추가 조사 가능성을 시사했다. 소비자에게는 호재지만, 통신사가 감당해야 할 비용과 후폭풍도 만만치 않다.
현재(5월 30일 기준) SKT 유심 교체자는 555만 명, 대기자는 358만 명에 달한다. 업계가 ‘보조금 과열→규제→물밑 경쟁’의 악순환을 끊지 못하면 같은 소동이 반복될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댓글 0
뉴스
‘생사 갈림길’ 국민의힘… 외과의사 안철수, 칼 들고 응급수술 선언

“출범 첫 달에 터진 수출 축포”…6월 무역 그래프가 다시 위를 가리켰다

여야 태도 급반전에 증시 들썩…‘상법 개정’ 촉발한 72시간의 전쟁

특검·윤석열 ‘강대강’ 대치, 불출석 땐 강제조사로 가나

“청년 주거 사다리 다시 세운다” — 이상경 1차관의 파격 공급 선언

추경 전쟁, 첫날부터 파행‑극적 봉합…여야 ‘하루 추가’에 손잡다

새벽까지 이어진 ‘15시간 진실攻防’…윤석열 전 대통령, 특검청사 문 나서며 침묵

‘관세·내수 부진·중동 리스크’ 3중 압박…제조업계에 다시 깜빡인 적신

“보수의 거울이 깨졌다” 홍준표, 윤석열 특검 앞 작심토로

윤석열, 6층 조사실에서 굳게 다문 입…특검과 장기전 예고

“빌릴 수 있는 돈은 최대 6억”…부동산 과열에 브레이크 걸린다

“독립운동이 고난의 씨앗이라는 말, 오늘로 끝냅시다” ― 이재명 대통령의 다짐

“문 두드려도 못 들어간다” — 지하 통로 맞서는 윤 전 대통령·특검

취임 23일 만에 ‘6억 스톱’…이재명式 대출 쇼크가 몰려온다

여당의 ‘상임위원장 올킬’…본회의장에 남은 건 빈 좌석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