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그리넷

사회

“수도 밸브 4분의 3 잠갔다” 강릉, 마른 바닥 드러난 오봉저수지… 재난사태 속 물 부족 비상

M
관리자
2025.09.01 추천 0 조회수 92 댓글 0

“수도 밸브 4분의 3 잠갔다” 강릉, 마른 바닥 드러난 오봉저수지… 재난사태 속 물 부족 비상

“수도 밸브 4분의 3 잠갔다” 강릉, 마른 바닥 드러난 오봉저수지… 재난사태 속 물 부족 비상

 

 

강릉, 식수의 마지노선이 내려앉았다

 

강원 강릉시의 주 상수원 역할을 하는 오봉저수지 저수율이 14.9%로 내려가며, 상수 안정선으로 여겨지던 ‘15%’가 깨졌습니다. 시는 이미 일부 지역에서 시행하던 절수 조치를 확대해 계량기의 75%를 잠그는 2단계 제한급수에 들어갔습니다. “세탁기는 멈추고 손빨래로 버틴다”는 주민들의 하소연이 일상이 됐습니다.

 

1. 현장 상황 — “저수지 한복판이 흙먼지”

 

오봉저수지 바닥은 곳곳이 말라 갈라졌고, 수위표는 평년 같은 시기보다 뚝 떨어진 눈금을 가리킵니다. 강릉 생활용수의 약 87%를 이 한 곳에 의존하는 구조라 타격은 곧장 가정과 시장으로 전이됐습니다. 내곡동·옥천동 등지 주민들은 약수터와 급수차에 의지해 물통을 채우고, 중앙시장 상인들은 “생선 손질조차 빠르게 하기 어렵다”고 호소합니다.

 

강릉시는 앞서 약 5만3천여 가구에 ‘계량기 50% 잠금’을 적용해 왔으나, 저수율 붕괴로 더 강도 높은 조치가 불가피해졌습니다. 비가 길게 비껴 간 지난 몇 달, ‘버티기’로는 한계가 드러났습니다.

 

2. 대응과 과제 — “전국의 물, 강릉으로”

 

정부는 자연재난 사유로 강릉을 ‘재난사태 지역’으로 선포했습니다. 동시에 국가소방동원령을 발령해 전국의 물탱크차가 강릉으로 집결, 정수장으로 하루 수천 톤의 원수를 들여보내고 있습니다. 급박한 갈증을 달래는 ‘수혈’이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임시 처방입니다.

 

현장의 목표는 두 갈래입니다. 첫째, 생활·영업 필수 수요의 최소 유지. 상수도 압력과 공급 시간을 촘촘히 조정해 병원·시장·노약자 밀집 지역의 취약성을 먼저 보완합니다. 둘째, 수원 다변화. 인접 취수원 연계, 농업용수 전환 관리, 필요 시 비상관정·이동식 정수 투입을 병행합니다. 장기적으로는 바닷물 담수화, 관망 누수 저감, 댐-저수지 간 연계망 강화 같은 구조적 해법이 요구됩니다.

 

주민에게는 두 가지 메시지가 분명합니다. ‘물은 공공자원’이므로 비상시엔 공동체적 배분 원칙이 우선한다는 점, 그리고 단기간의 강한 절수가 결국 더 큰 피해를 막는 우회로라는 사실입니다. ‘하루 한 양동이 덜 쓰기’ 같은 작은 실천이 도시 전체의 숨통을 틉니다.

 

현장 르포 시각 — “비가 아닌 시스템이 필요하다”

 

강릉의 물 위기는 한 도시의 사건이 아니라 기후 리스크 관리의 시험대입니다. 예보 한 줄에 기대는 도박은 끝났습니다. 수요 관리(절수·요금·시설 효율)공급 다변화(연계·저장·재이용)가 동시에 돌아가야 합니다. 비가 오면 잠시 숨통은 트일 겁니다. 그러나 진짜 해갈은, 다음 가뭄이 와도 도시가 흔들리지 않는 ‘복원력의 인프라’에서 시작됩니다.

 

생활 체크리스트 —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절수 팁

 

짧은 샤워, 양치컵 사용, 세탁 모아 돌리기 금지(당분간 손세탁 권장), 식기 세척 전 기름기 닦아내기, 빗물받이 활용 등 가정 단위 절수가 체감 난관을 줄입니다. 상점은 수질·위생 지침을 준수하며, 영업시간·메뉴 조정 등으로 물 소비량을 조절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습니다.

 

 

댓글 0

뉴스

전체 정치 경제 사회 생활/문화 IT/과학 세계이슈 연예 건강
경제

‘유리천장 깨부순’ 한성숙, 네이버 첫 女 CEO에서 중기부 수장으로

M
관리자
조회수 625
추천 0
2025.06.23
‘유리천장 깨부순’ 한성숙, 네이버 첫 女 CEO에서 중기부 수장으로
경제

“움직이는 청정 발전소” 디 올 뉴 넥쏘

M
관리자
조회수 807
추천 0
2025.06.21
“움직이는 청정 발전소” 디 올 뉴 넥쏘
경제

LG, 1조2600억 ‘파주 올인’…조 단위 국내 투자 본격화 신호탄

M
관리자
조회수 616
추천 0
2025.06.18
LG, 1조2600억 ‘파주 올인’…조 단위 국내 투자 본격화 신호탄
경제

트럼프發 관세 태풍에도 하이브리드가 지킨 ‘수출 방파제’

M
관리자
조회수 682
추천 0
2025.06.17
트럼프發 관세 태풍에도 하이브리드가 지킨 ‘수출 방파제’
경제

울산 바다에 뜨는 ‘GPU 6만 장’ 데이터 함대

M
관리자
조회수 747
추천 0
2025.06.16
울산 바다에 뜨는 ‘GPU 6만 장’ 데이터 함대
경제

“관세 폭풍 맞기 전에”… 제네시스, 르망서 ‘그린 럭셔리’ 깃발 꽂다

M
관리자
조회수 613
추천 0
2025.06.15
“관세 폭풍 맞기 전에”… 제네시스, 르망서 ‘그린 럭셔리’ 깃발 꽂다
경제

“50% 벽” 트럼프 관세…韓 가전업계 ‘생산지도’를 다시 그리다

M
관리자
조회수 594
추천 0
2025.06.14
“50% 벽” 트럼프 관세…韓 가전업계 ‘생산지도’를 다시 그리다
경제

美, 냉장고·세탁기까지 50% 관세?…한국 가전업계 ‘태풍의 눈’

M
관리자
조회수 589
추천 0
2025.06.13
美, 냉장고·세탁기까지 50% 관세?…한국 가전업계 ‘태풍의 눈’
경제

트럼프의 ‘마감 카운트다운’…이재명式 통상외교, G7에서 승부수

M
관리자
조회수 596
추천 0
2025.06.12
트럼프의 ‘마감 카운트다운’…이재명式 통상외교, G7에서 승부수
경제

G7 무대에 울린 '서울‑브뤼셀 핫라인'…경제·기후·안보 三각축 재편

M
관리자
조회수 563
추천 0
2025.06.11
G7 무대에 울린 '서울‑브뤼셀 핫라인'…경제·기후·안보 三각축 재편
경제

치솟는 치킨값 진정될까? 브라질 닭고기 수입 재개 조짐

M
관리자
조회수 557
추천 0
2025.06.11
치솟는 치킨값 진정될까? 브라질 닭고기 수입 재개 조짐
경제

새벽부터 멈춘 챗GPT…7시간 먹통 쇼크, 원인은 ‘폭주한 오류율’

M
관리자
조회수 582
추천 0
2025.06.11
새벽부터 멈춘 챗GPT…7시간 먹통 쇼크, 원인은 ‘폭주한 오류율’
경제

현대차 ‘더 뉴 엑시언트’ 출시 – 대형 트럭 혁신의 서막

M
관리자
조회수 561
추천 0
2025.06.11
현대차 ‘더 뉴 엑시언트’ 출시 – 대형 트럭 혁신의 서막
경제

6월 첫 열흘, 반도체가 끌어올린 수출…무역수지 적자 계속 - 한국 수출입 동향

M
관리자
조회수 574
추천 0
2025.06.11
6월 첫 열흘, 반도체가 끌어올린 수출…무역수지 적자 계속 - 한국 수출입 동향
경제

금융과 쇼핑이 한자리에! SSG닷컴-KB국민은행 파격 결합

M
관리자
조회수 575
추천 0
2025.06.09
금융과 쇼핑이 한자리에! SSG닷컴-KB국민은행 파격 결합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