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그리넷

경제

“미국서 또 잡히면 안 된다” 최태원, 민주당에 비자쿼터·구조적 처방 요구

M
관리자
2025.09.08 추천 0 조회수 18 댓글 0

“미국서 또 잡히면 안 된다” 최태원, 민주당에 비자쿼터·구조적 처방 요구

“미국서 또 잡히면 안 된다” 최태원, 민주당에 비자쿼터·구조적 처방 요구

1. 무엇이 논의됐나

 

대한상공회의소와 더불어민주당이 서울 중구 대한상의 회관에서 경제현안을 놓고 머리를 맞댔다. 회의는 공개 발언 뒤 비공개로 전환됐고, 산업·노동·법제 전반에 걸친 현장형 제안이 집중적으로 오갔다. 경제계는 특히 철강·석유화학 등 침체 업종의 연착륙을 위해 정책적 뒷받침을 주문했고, 기업 활동을 제약하는 과도한 경제형벌 규정의 정비를 요청했다.
 

정치권에서는 “오래된 규제 장치가 여전히 발목을 잡고 있다”는 자성도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지도부는 정책위원회와 합동 검토를 약속하며, 속도 조절이 필요한 과제는 재계와 소통해 방향과 시점을 조율하겠다고 밝혔다.

 

2. 왜 지금 이 얘기인가

 

불씨는 미국 조지아주의 한국인 구금 사안이었다.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은 “정부의 신속한 대응으로 봉합은 됐지만, 근본 처방 없이면 동일한 위험이 반복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현지 인력 비자쿼터의 안정적 확보제도적 재발 방지책을 공식 요청했다. 한마디로, ‘사후 진화’에서 ‘사전 차단’으로의 전환이다.

 

그는 동시에 한국 경제가 수출 의존 성장의 피로를 겪고 있다며 새로운 성장 로드맵을 예고했다. 대한상의와 경제단체들이 연중 수시 제안—연말 종합안의 투트랙으로 정책 패키지를 만들어 정당·정부에 순차 전달하겠다는 구상이다.

 

핵심 쟁점, 다른 각도에서 보기

 

첫째, 해외 리스크 관리다. 글로벌 생산거점이 늘어날수록 현지 법규·노동·이민 이슈가 얽힌다. 이번 구금 사태는 단순 사건이 아니라 공급망 안전망의 약한 고리를 드러낸 신호다. 비자쿼터와 안전 프로토콜은 “보험”이자 “회복탄력성(R)” 확보 장치다.
 

둘째, 산업 전환의 속도다. 철강과 석화는 친환경·저탄소 전환의 충격이 큰 업종이다. 경제계가 강조한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및 녹색전환 특별법’은 전기로 확대, 수소환원제철, 스크랩 순환 등 투자-인허가-인프라를 패키지로 엮어 병목을 끊는 스위치 역할을 노린다.

 

셋째, 법제 균형이다. 상법·노조법 개정 논의는 지배구조의 투명성경영 자율성 사이의 균형점을 찾는 과정이다. 경제계는 자사주 소각 등 민감 사안의 시장 충격 최소화를 주문했고, 정당은 시장과 대화하며 속도 조절을 공언했다.

 

현장 분위기와 후속 로드맵

 

회의장은 산업별 책임자들이 총출동해 실무형 논의를 펼친 것이 특징이다. 반도체, 배터리, 철강, 화학 등 핵심 밸류체인의 현장 감각이 정책 테이블에 본격 반영되기 시작했다는 신호로 읽힌다. 당 지도부는 “2주 내 1차 피드백”을 예고했고, 연내 재점검 회동을 제안했다. 사건·사고를 지연된 조치로 수습하던 관행에서, 사전 점검—정책 보완—현장 테스트로 이어지는 루틴화된 대응을 구축하려는 모양새다.

 

요약하면, 이번 만남은 안전·법제·산업전환이라는 세 갈래의 과제를 한 자리에서 엮은 ‘리스크 통합관리’ 실험이었다. 비자쿼터로 사람의 이동을, 특별법으로 설비와 기술을, 법제 정비로 제도 신뢰를 각각 다듬는다면, 한국 기업의 대외 충격 내성은 한 단계 높아질 수 있다.

 

주요 참석자

 

정치권: 정청래 대표, 이언주 최고위원, 한정애 정책위의장 등
경제계: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박승희 삼성전자 사장, 이형희 SK 위원장, 하범종 LG 사장, 이주태 포스코홀딩스 사장, 이태길 한화 사장 등

 

한 줄 인사이트

 

“사후 진화보다 사전 설계”—비자·법제·특별법이 맞물릴 때, 글로벌 현장의 멈춤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댓글 0

뉴스

전체 정치 경제 사회 생활/문화 IT/과학 세계이슈 연예 건강
사회

돌아선 측근들에 막힌 길…윤석열 전 대통령 수세 몰리다

M
관리자
조회수 402
추천 0
2025.07.13
돌아선 측근들에 막힌 길…윤석열 전 대통령 수세 몰리다
사회

특검, 14일 윤석열 소환…“이젠 법정으로 나올 차례”

M
관리자
조회수 407
추천 0
2025.07.12
특검, 14일 윤석열 소환…“이젠 법정으로 나올 차례”
사회

“14일엔 반드시 나와라” 특검의 최후통보

M
관리자
조회수 425
추천 0
2025.07.11
“14일엔 반드시 나와라” 특검의 최후통보
사회

새벽 수갑, 빈 피고인석…윤석열 구속이 몰고 온 사법 태풍

M
관리자
조회수 468
추천 0
2025.07.10
새벽 수갑, 빈 피고인석…윤석열 구속이 몰고 온 사법 태풍
사회

내년 시간당 법정최저보수, 1만 원 턱걸이 인상폭 ‘1.8% vs 4.1%’

M
관리자
조회수 482
추천 0
2025.07.09
내년 시간당 법정최저보수, 1만 원 턱걸이 인상폭 ‘1.8% vs 4.1%’
사회

“잿빛 철문 앞에서” — 윤석열 前 대통령, 내란 혐의 영장심사 전말

M
관리자
조회수 458
추천 0
2025.07.08
“잿빛 철문 앞에서” — 윤석열 前 대통령, 내란 혐의 영장심사 전말
사회

긴장 속 재소환, 윤 전 대통령과 특검의 일촉즉발

M
관리자
조회수 532
추천 0
2025.07.05
긴장 속 재소환, 윤 전 대통령과 특검의 일촉즉발
사회

초읽기 돌입한 특검, 윤 전 대통령 겨냥 ‘숨가쁜 하루’

M
관리자
조회수 486
추천 0
2025.07.04
초읽기 돌입한 특검, 윤 전 대통령 겨냥 ‘숨가쁜 하루’
사회

“최저임금 막판 줄다리기” — 11,140원 vs 10,130원, 숨가쁜 1,010원의 격전

M
관리자
조회수 538
추천 0
2025.07.03
“최저임금 막판 줄다리기” — 11,140원 vs 10,130원, 숨가쁜 1,010원의 격전
사회

치열한 줄다리기 끝… 윤석열, ‘내란특검’ 5일 전격 출석 예고

M
관리자
조회수 533
추천 0
2025.07.02
치열한 줄다리기 끝… 윤석열, ‘내란특검’ 5일 전격 출석 예고
사회

특검·윤석열 ‘강대강’ 대치, 불출석 땐 강제조사로 가나

M
관리자
조회수 531
추천 0
2025.06.30
특검·윤석열 ‘강대강’ 대치, 불출석 땐 강제조사로 가나
사회

새벽까지 이어진 ‘15시간 진실攻防’…윤석열 전 대통령, 특검청사 문 나서며 침묵

M
관리자
조회수 566
추천 0
2025.06.29
새벽까지 이어진 ‘15시간 진실攻防’…윤석열 전 대통령, 특검청사 문 나서며 침묵
사회

윤석열, 6층 조사실에서 굳게 다문 입…특검과 장기전 예고

M
관리자
조회수 561
추천 0
2025.06.28
윤석열, 6층 조사실에서 굳게 다문 입…특검과 장기전 예고
사회

“문 두드려도 못 들어간다” — 지하 통로 맞서는 윤 전 대통령·특검

M
관리자
조회수 589
추천 0
2025.06.27
“문 두드려도 못 들어간다” — 지하 통로 맞서는 윤 전 대통령·특검
사회

폭풍 전야, ‘한 시간’이 만든 전면전…윤석열 전 대통령 비밀 소환의 전모

M
관리자
조회수 593
추천 0
2025.06.26
폭풍 전야, ‘한 시간’이 만든 전면전…윤석열 전 대통령 비밀 소환의 전모
2 3 4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