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전쟁” 선언한 이재명 대통령 취임 첫날 - 비상경제대응TF 즉각 가동

이재명 정부, 비상경제체제로 출범하다
1. 민생 “긴급 구조” 선언
“불황과의 정면 승부”. 취임 선서 직후 이재명 대통령이 꺼낸 첫 문장이다. 그는 국민의 밥상 물가부터 살린다는 방침 아래 경제 전 분야에 대한 비상경제대응TF를 즉시 작동하도록 지시했다. 조기 대선으로 인수위도 없이 곧바로 업무에 돌입한 그는 국회 본청에서 약식으로 선서를 마친 뒤 “정부가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흔들리는 가계의 숨통을 틔워 주는 것”이라며 대대적 규제 혁신을 예고했다.
새 정부는 규제 체계를 ‘네거티브 리스트’ 중심으로 전환해 창의적 기업 활동을 뒷받침하겠다는 구상이다. 규칙을 어긴 자가 이득을 보는 ‘역차별’ 구조는 뿌리 뽑겠다는 경고도 잊지 않았다. 여기에 반도체·AI 등 첨단 산업에 대한 국가 주도 투자를 공언, “앞으로 10년, 기술 패권 경쟁의 승부를 지금 당장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 “모두의 대통령”을 향한 통합 메시지
선거에서 자신을 지지하지 않은 국민까지 품겠다는 의지도 분명히 드러냈다. “분열의 정치와 결별하겠다”는 한마디로, 그는 ‘국민이 임명한 대통령’이라는 표현으로 책임감을 부각했다. 오는 7월 17일 제헌절에는 헌법정신을 기리는 ‘임명식’을 따로 열어 “주권자의 의지를 되새기겠다”는 계획도 흘러나왔다.
안보·외교 분야에서는 실용 노선을 앞세웠다. 한·미 동맹을 축으로 한·미·일 협력을 공고히 하되, 주변 4강과는 국익 중심으로 유연하게 협상하겠다는 복안을 제시했다. 북한과의 대화 창구 역시 “잠가 두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강력한 억제력과 협상 테이블을 동시에 운용해 한반도 평화를 모색하겠다는 복합 전략에 힘이 실린다.
3. “균형·공정·미래” 세 축으로 국가 재설계
신임 대통령은 지역 불균형 해소에도 방점을 찍었다. 수도권 집중 현상을 완화하고, 대·중·소·벤처 기업이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특권과 특혜가 끼어들 틈 없는 공정사회를 만들겠다”며 재벌·중소기업 간 상생 모델을 제시했다. 또한 문화·예술 분야를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키워 “꽃이 피는 문화강국”을 약속했다.
취임 직후 그는 국회 미화 노동자와 방호 직원들을 찾아 감사 인사를 전했다. 2023년 단식 당시 물심양면으로 지원했던 미화원 최성자 씨를 일일이 호명하며 “민주주의는 드러나지 않는 헌신 위에서 자란다”는 비유로 박수를 받았다. 취임식이 대규모 퍼레이드 대신 ‘소박한 시작’을 택한 이유도 “국민 곁에서 숨 쉬는 권력”을 구현하기 위한 선택이라고 설명했다.
댓글 0
뉴스
라면 한 봉지 2천 원 시대, 서민 장바구니가 끓고 있다

“출범 첫 달에 터진 수출 축포”…6월 무역 그래프가 다시 위를 가리켰다

“청년 주거 사다리 다시 세운다” — 이상경 1차관의 파격 공급 선언

‘관세·내수 부진·중동 리스크’ 3중 압박…제조업계에 다시 깜빡인 적신

“빌릴 수 있는 돈은 최대 6억”…부동산 과열에 브레이크 걸린다

취임 23일 만에 ‘6억 스톱’…이재명式 대출 쇼크가 몰려온다

반세기 전 첫 불을 밝힌 고리 1호기, 드디어 해체 카운트다운

SK엔무브 네껀째 좌절, ‘코리아 디스카운트’ 판 흔드나

첫 단추 끼운 한‧미 통상 대화, 관세 장벽 넘어 협력 시동

‘유리천장 깨부순’ 한성숙, 네이버 첫 女 CEO에서 중기부 수장으로

“움직이는 청정 발전소” 디 올 뉴 넥쏘

LG, 1조2600억 ‘파주 올인’…조 단위 국내 투자 본격화 신호탄

트럼프發 관세 태풍에도 하이브리드가 지킨 ‘수출 방파제’

울산 바다에 뜨는 ‘GPU 6만 장’ 데이터 함대

“관세 폭풍 맞기 전에”… 제네시스, 르망서 ‘그린 럭셔리’ 깃발 꽂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