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위질·돛 단다” 李대통령‑재계 첫 회동 전말

“가위질·돛 단다” 李대통령‑재계 첫 회동 전말
1. 새 정부‑재계 첫 스킨십
취임 후 열흘도 채 지나지 않은 6월 13일, 용산 대통령실에 5대 그룹 수장과 6개 경제단체장이 한자리에 모였다. 두툼한 악수 뒤에 이어진 모두발언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국민이 먹고사는 문제의 출발점은 기업”이라며 경제 드라이브를 예고했다. 불필요한 규제는 가위로 자르되, 생명‧안전‧공정 거래를 지키는 울타리는 더 튼튼히 세우겠다는 메시지를 꺼냈다.
대통령실 핵심 참모와 산업‧재정 사령탑까지 총출동한 이날 간담회는 형식보다 속도가 주목받았다. 정권 초기 ‘컨트롤타워’를 재빨리 세우겠다는 청사진이 담겼다는 해석이다.
2. 기업 총수들의 온도차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은 “정부와 발 맞춰 위기를 돌파하겠다”며 AI‑반도체‑바이오 투자 확대 의지를 깔끔히 정리했다. 청소년 교육, 청년 사회진입 같은 사회공헌 키워드도 꺼내 들며 ‘상생 카드’를 내밀었다. 현대차 정의선, LG 구광모, 롯데 신동빈 회장 등도 고개를 끄덕였지만, 속내는 복잡했다는 후문이다.
SK그룹 수장이자 대한상의 회장인 최태원 회장은 “민‑관의 한목소리가 APEC CEO 서밋 성공의 열쇠”라며 11월 경주 회의를 향한 협력 플랫폼을 제안했다. “1700개 해외 기업을 불러모으겠다”는 포부가 나왔지만, 중대재해처벌법 강화나 상법 개정안 등 ‘뜨거운 감자’가 계속 거론되자 테이블엔 묘한 긴장감이 맴돌았다.
3. ‘양날의 규제’ 시그널
공정시장 조성과 규제 합리화를 ‘양손에 칼’처럼 동시에 쥔 대통령의 메시지는 재계에 숙제를 던졌다. “규제 완화를 기대하면서도, 경영 부담이 뒤따를 수 있다”는 한 대기업 관계자의 반응은 현장의 공기를 대변한다. 비공개로 전환된 이후 대화 내용이 공개되지 않았지만, 재계가 민감하게 여기는 법안들이 물 밑에서 관성을 얻을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결국 기업들은 ‘속도 조절’이 아닌 ‘이중 트랙’ 전략이 필요해졌다. 투자와 고용엔 가속페달을, 안전과 상생 관리엔 세밀한 브레이크를 동시에 밟아야 하는 형국이다. 마치 바람을 거슬러야 더 높이 날 수 있는 연(鳶)처럼, 규제의 맞바람을 적절히 이용할 때 성장의 고도가 높아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댓글 0
뉴스
‘지미 키멜 라이브’ 전격 중단…트럼프 “미국엔 반가운 일”

美 연준, 금리 인하 사이클 돌입…글로벌 증시 ‘랠리 모드’ 시동

“가자시티로 밀고 들어간 이스라엘” — 밤사이 집중 공세, 전차까지 투입

틱톡 매각 합의로 급물살 탄 미·중 협상…트럼프-시진핑 19일 통화 예정

“커크를 겨냥한 총탄 이후” 용의자 주변 정황 드러나지만, 동기는 여전히 안갯속

사도광산 추도식, 또다시 ‘강제동원’ 외면…2년째 반쪽 행사 논란

“서명하거나 부담하라” 러트닉의 최후통첩… 한·미 통상 줄다리기 격화

“관세로 세계를 흔들 수 없다” 시진핑, BRICS서 직격탄

“누가 달러 왕관을 쓸까” 파워볼 잭팟, 18억 달러 목전

“머나먼 비보에 침통”…리스본 전차 참사에 이재명, 전폭 지원 지시

“질서 재편, 함께 가겠다” 베이징서 맞잡은 러·중의 계산

김정은, 시진핑·푸틴과 톈안먼 나란히…새 외교 무대의 시작

“싱가포르서 韓-美 의회 맞손, 주한미군 철통 유지 재확인” - 한미동맹, 기술협력 가속

“보안 허점 드러난 디올·티파니” - 개인정보 유출 파문

머스크 ‘마약 중독’설 정면 반박 – 케타민 처방의 진실과 정치적 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