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첫날부터 ‘경제비상’ 선언…비상경제점검 TF 직접 지휘

이재명 대통령, 용산에서 긴급 경제 현황 점검 “지금이 골든타임”
1. 취임과 동시에 올라간 ‘경제 경보’
취임식의 여운이 채 가시기도 전에 이재명 대통령은 국내 경기 체온을 재기 위한 비상경제점검 TF를 구성하라는 1호 행정명령을 꺼내 들었다.
4일 저녁 7시 30분, 용산 대통령실 집무실에서 열린 첫 회의는 사전에 공개된 서두만 남기고 곧바로 비공개로 전환됐다. 대통령은 “지금이 골든타임”이라며 신속한 추경 편성과 유동성 확보 방안을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2. ‘원 테이블’에 모인 부처 실력자들
재정 사령탑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 주거 정책을 진두지휘하는 진현환 국토교통부 1차관, 벤처·중소기업 현안을 맡은 김성섭 중기부 차관 등 차관급 핵심이 한자리에 모였다.
현장 목소리를 대변할 싱크탱크로는 조동철 KDI 원장, 권남훈 산업연구원장, 이시욱 대외경제정책연구원장이 참석해 “부처 간 칸막이를 걷어내고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겠다”는 공감대를 형성했다.
3. 시장의 ‘심리’부터 달래라
대통령실 관계자는 “금융 불확실성이 소비 위축으로 번지는 것을 차단하는 데 방점이 찍혔다”고 전했다.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과 신진창 금융정책국장이 배석해 가계부채 관리·유동성 공급 라인을 점검한 것도 이 때문이다.
한 경제학자는 “새 정부의 첫 메시지가 ‘경제 안전판’이라는 점이 시장 안정 효과를 줄 수 있다”라며 “과감하지만 세밀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4. 추경 논의, 속도전 예고
TF 내부에서는 고물가와 금리 리스크에 대응할 추가경정예산 규모를 두고 다양한 숫자가 오갔다고 전해진다. 구체적인 계수 조정은 기재부 실무진이 맡고, 대통령은 “정치적 시간표보다 체감효과가 먼저”라는 원칙을 재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재계는 “경영계획 수정이 불가피하지만, 신속 집행이 보장된다면 투자 보류분을 풀 수 있다”며 회의 결과에 예민하게 시선을 고정하고 있다.
5. ‘컨트롤타워’ 상설화 검토
대통령실은 이번 TF를 단발성 대신 상설 대응 기구로 발전시키는 방안을 물밑에서 검토 중이다. 한 참모는 “과거 외환위기와 팬데믹으로 학습된 ‘조기 경보 체계’가 이번엔 대통령 주재 회의로 격상됐다”고 귀띔했다.
향후 TF는 매월 경제지표 발표 시기에 맞춰 가동될 가능성이 크다.
댓글 0
뉴스
“수사 더 탄력”… 해병 특검, 13명 추가 파견 요청

“헤마타이트가 국가 전략기술로”… 고려아연, 아연 공급망의 중심에 서다

“나가도 된다” vs “굳이 갈 일 아니다” — 김현지 국감 출석을 놓고 갈라진 여당 기류

“7년 만의 멈춤” 미 연방 행정 중단…돈·하늘·데이터가 동시에 흔들렸다

“5만8천원에 5G 무제한” SKT, 자급제만 겨냥한 ‘에어’로 판 흔든다

KGM, 9월 1만636대 ‘점프’…친환경 라인업·픽업 돌풍이 끌었다

“검찰청 해체 여파” 파견 검사 전원 복귀 요청… 특검, “수사·공소유지 흔들림 없다”

“기프티콘 수수료 떠넘기고 장비 강매”…메가커피에 공정위 과징금 22.92억

“3천 명 한꺼번에 민주당 입당” 의혹…김경 반박·탈당, 與는 고발 추진

“영구 핵보유” 주장에 맞선 외교부 메시지: 한반도 비핵화는 여전히 ‘기준점’

“AI 도입의 막힘을 뚫다” 코오롱베니트, 통합 플랫폼 ‘프롬튼’ 전격 공개

짙은 안개에 숨은 함정, 낮밤 급격한 온도 차 대비법

“연애, 돈, 침묵의 1년” 김치냉장고 속에 감춰진 진실

“합쳐도 내 마일은 안전할까?” 아시아나 포인트, 10년 보호와 전환 공식 총정리

“부산으로 간 이시바”… 셔틀외교를 현실로 만드는 시험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