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만원보다 산업은행” 한마디에 기름 부은 부산 민심

“25만원보다 산업은행” 한마디에 기름 부은 부산 민심
1. 논란의 불씨
지난 2일, 국민의힘 박수영 의원(부산 남구)이 자신의 페이스북에 쓴 몇 줄의 글이 주말 내내 지역 커뮤니티를 달궜다. 그는 “연말까지 해양수산부를 남구로 옮기고, 1인당 25만원짜리 지역화폐보다 산업은행 이전이 부산을 살린다”라는 취지로 적었다. 이 발언은 이재명 대통령이 추진한 ‘민생회복 소비쿠폰’(국민 1인당 25만원) 사업을 겨냥한 것이다. 박 의원은 사업을 ‘즉흥적 현금 살포’라 규정하며, 거대 국책은행을 유치해야 수조 원대의 파급 효과가 생긴다고 강조했다.
해당 글이 퍼지자 부산 시민들 사이에서 “필요 없는 것은 쿠폰이 아니라 국민의힘 의원들”이라는 날 선 반응이 터져 나왔다. 소셜미디어에는 ‘부산 시민을 대표해 누가 25만원이 필요 없다 했나’라는 해시태그가 빠르게 확산됐고, 일부 시민은 “선거 때마다 부산 표를 가져가더니 이제 와서 민심을 무시한다”고 비판했다.
2. 불붙은 후폭풍
맛칼럼니스트 황교익 씨는 “25만원이 필요 없다 주장하는 부산 시민이 구체적으로 누구인지 밝히는 것이 예의”라고 직격했다. 시민단체들은 “지역 은행 유치와 현금 지원은 택일이 아니라 병행해야 할 과제”라며, ‘무상급식이냐 교육투자냐’로 나뉘었던 과거 복지 논쟁에 비유해 박 의원의 주장을 공세적으로 비판했다.
급속히 번지는 여론을 의식한 듯, 박 의원은 7일 다시 글을 올려 “쿠폰으로 얻는 단기 소비 진작보다 산업은행 이전이 가져올 금융·제조업 시너지 효과가 훨씬 크다”면서도 “시민 의견을 듣겠다”고 한발 물러섰다. 그러나 원문 게시글은 여전히 삭제되지 않은 채 남아 있어, ‘사과 없는 해명’이라는 역풍도 거세다.
정치권은 곧바로 계산기를 두드렸다. 여야 모두 부산 지역 총선 구도가 흔들릴 조짐을 예의 주시하며, 한쪽에선 “산은 이전 공약을 박 의원이 먼저 띄웠다”는 평가가, 다른 쪽에선 “유권자의 체감 복지를 깎아내렸다”는 비판이 교차한다. 4일 국회를 통과한 31조8천억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이 이제 대통령 재가만 남겨 둔 가운데, ‘25만원 쿠폰 vs. 산업은행 카드’ 논쟁은 전국으로 번질 가능성이 커졌다. 짧은 페이스북 글이 거대 경제 담론으로 전이된 셈이다.
“부산은 바다가 아닌 은행이 필요하다”는 박 의원의 도발적 수사는 결국 ‘지역 성장 전략’과 ‘보편적 현금 지원’이라는 두 축을 정면으로 충돌시키고 있다. 해수부 이전, 산은 재배치, 소비쿠폰 집행까지 세 갈래 이슈가 복잡하게 얽힌 현재, 정치권은 물론 시민사회도 ‘무엇이 진짜 부산의 미래인가’라는 질문 앞에서 뜨거운 여름을 보내게 됐다.
댓글 0
뉴스
“캄보디아서 사라진 22세”…고문 끝 심장마비, 남겨진 가족의 두 번째 비극

“울분으로 버틴 밤”… 이진숙, 오후에도 강도 높은 조사 이어져

“수사 더 탄력”… 해병 특검, 13명 추가 파견 요청

“검찰청 해체 여파” 파견 검사 전원 복귀 요청… 특검, “수사·공소유지 흔들림 없다”

“연애, 돈, 침묵의 1년” 김치냉장고 속에 감춰진 진실

“멈춤 후 재정렬” 한강버스, 1개월 무승객 운항 돌입

한강버스, 10일 만에 ‘시민 탑승 중단’…안전 점검 모드 돌입

“핵심 진술 신빙성 부족”…‘라임 금품수수’ 기동민·이수진 1심 무죄

'3617번 수용자' 윤석열, 특검 재판 첫 출석…긴장감 속 법정 풍경

내일, 카메라 앞에 선다…보석 심문은 막았다

“첫 법정 출석” 김건희, 공판 개시…법정 실루엣 일부 공개

‘호주행 인사 뒤편의 그림자’…이종섭 전 장관, 윤 전 대통령 제안설 폭로

“PPT 220쪽·구속 총력전” 특검, 한학자 영장 심사 정면돌파… 24일 김건희 법정 첫 공개 촬영

“24일 소환 통지” 특검, 前대통령 겨냥…평양 무인기 의혹 수사 급류

부산 앞바다 어선 전복, 1명 숨지고 1명 행방불명
